히스타민 함량과 독성
50ppm 이하 | 50~200ppm | 200~1,000ppm | 1,000ppm 이상 |
---|---|---|---|
안전 | 독성의 가능성 | 거의 독성을 나타냄 | 안전하지 않음 |
시판 액젓(어간장)의 히스타민 함량
제조사 | A | B | C | D | E | ![]()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히스타민(ppm) | 868.2 | 724.1 | 625.1 | 514.2 | 194.0 | 10 이하 |
※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석사논문(이홍희): 시판 액젓의 등급판정을 위한 품질평가(2013년)
시판 참치액의 총질소 및 아미노산질소 함량
제조사 | 액젓(A사) | 액젓(B사) | 액젓(C사) | 참치액(A사) | 참치액(B사) | 참치액(C사) | ![]()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총질소(%) | 1.9 | 1.4 | 1.0 | 0.7 | 0.5 | 0.3 | 식약처 기준(1.0%)의 2배 이상 |
※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석사논문(이홍희, 2013) 및 참치액 영양정보
구분 | 제조방법 | 제조기간 | 총질소함량 | 첨가물 유무 | 식품유형 |
---|---|---|---|---|---|
![]() |
발효 | 약 2년 | 식약처 기준 (1.0%)의 2배이상 |
첨가물 없음 (참치와 소금) |
액젓 |
시판 참치액 | 열수추출 | 수일 | 기준 없음 | 첨가물 허용 (MSG 등) |
소스 |